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연구실

빼어난 창업 생태계 실리콘밸리, 몰리는 SW 인재들

미국 실리콘밸리 창업의 70~80%는 소프트웨어(SW) 분야다. SW 분야의 창업붐 비결을 알기 위해 실리콘밸리 벤처 기업 시플리오(Shiplio)의 현장 사무실을 찾아 나섰다. '배송 혁명'을 하겠다며 창업에 막 나선 공동 창업자 마크 히틀(33)에게 "구글 지도 검색으로 찾아가겠다"고 하자, 그는 "지도로 찾기는 쉽지 않으니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그를 따라 팰로앨토 외곽의 산속으로 20여분간 올라가니, 한눈에 스탠퍼드 대학이 내려다보이는 전망 좋은 집이 나왔다.



①사무실 없는 창업도 가능


그런데 사무실은 따로 없었다. 히틀은 자기 방에 있는 노트북과 자신 머리를 각각 가리키며 "노트북 한 대와 내 머리가 사무실"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사무실이 필요한 것 아니냐' 묻자, 히틀은 "실리콘밸리 일대에서 성업 중인 사무실 대여 업체를 활용하면 된다"고 말했다. 해커 도조(Hacker dozo)란 업체에 월 100달러를 주고 회원이 되면, 실리콘밸리 곳곳에 있는 사무실을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였다. 지금 6명의 직원은 이메일로 주고받으면서, 필요하면 '하루 빌리는 사무실'에서 만난다.


실리콘밸리는 소프트웨어 창업을 꿈꾸는 이들에겐 최고의 지역이다. 스탠퍼드대 스티븐 보이드(Boyd) 정보시스템 연구소장(전기공학과 교수)은 "소프트웨어는 이곳 언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②초기 벤처들이 필요한 모든 것 제공



실리콘밸리 중심에 있는 서니베일. 소프트웨어 벤처들의 인큐베이터인 '플러그 앤 플레이 테크 센터(Plug and Play Tech Center)'에 들어서자 입주 회사 이름이 가득한 안내판을 보느라 눈이 어지러웠다. 300여개 벤처(startup)의 초기 성장을 지원하는 곳이다. 입주 업체 중 SW 관련 벤처들이 80%가 넘는다. 펀딩 상담, 사무 공간, 세미나·콘퍼런스, 교육, 멘토링은 물론 데이터 센터까지 초기 벤처들이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한다.


이들을 돕는 파트너들 면면은 화려하다. 알카텔-루센트, 바이두(Baidu), 크라이슬러, 히타치, 메르세데츠 벤츠, 파나소닉, 폴크스바겐 등 글로벌 기업에다 카네기 멜론, 코넬, 스탠퍼드 같은 명문대들도 포함돼 있다.


이곳은 2006년 설립된 이래 다른 대기업에 팔린 벤처들의 인수 가격만도 5억달러가 넘는다. 유명한 파일 공유 프로그램 업체 드롭박스(Dropbox) 음악 관련 벤처 사운드하운드(SoundHound) 등이 모두 이곳을 거쳤다.


③지분 투자 후 공짜 사무실도 제공

인근의 마운틴뷰. 이번엔 '500 스타트업스(Startups)'란 간판을 단 회사가 있다. 비즈니스 모델이 독특하다. 벤처에 무료로 사무실도 주고, 네트워크도 연결해주는 대신 그 벤처에 투자해 성공하면 수익을 얻는 방식이다. 인큐베이터가 어린이집이라면 이곳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로 불리는 유치원이다. 이 건물에 입주한 28개의 벤처는 완전 초기 단계를 막 벗어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리콘밸리엔 이 같은 액셀러레이터로 불리는 곳이 10여곳 성황 중이다.


3년 전 설립된 이곳 프로그램은 이렇다. 약 30개의 회사를 선정하여 4개월 동안 사무실을 공유하고 회사 초기 경영에 도움을 준다. 입주 업체들은 모든 비용이 공짜다. 현재 약 150개 회사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핵심 경쟁력은 멘토(mentor) 네트워크다. 어느 분야의 전문가를 1대1로 벤처 회사와 연결해주는 시스템이다. 전 세계 약 200여명의 멘토를 두고 있는데, 모두 금전적인 대가 없이 벤처 회사들을 도와준다.

이런 힘 때문에 약 50~60%의 회사들이 평균 5만달러의 초기 자본으로 시작해 2~3년이 지난 지금 약 25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는 업체들로 성장하고 있다. 이곳의 1호 벤처인 디지털 카드 서비스 업체 펀치드(PUNCHD)는 구글에 인수되었고, 창업 3개월 만에 아마존(Amazon)에 인수된 벤처도 있다. 이 회사 마케팅 담당 맥스 프램슈워츠(Fram-Schwartz)는 "좋은 아이디어와 소프트웨어만 있다면 누구나 창업에 도전할 수 있고, 그들을 돕는 생태계가 작동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from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8/02/2013080200283.html


한국의 소프트웨어(SW) 고급 인재들이 창업과 산업용 SW 분야를 외면하고 '게임 업체로 몰려가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소프트웨어를 새 성장 동력으로 삼는 세계적 산업 추세와 동떨어진 것이어서 한국 경제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1일 본지가 2010~2012년 3년간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졸업생(학사) 174명의 진로 현황을 전수(全數) 조사한 결과 창업을 선택한 졸업생은 단 1명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진학, 군 입대 등을 제외한 취업자 수는 50명. 이 중 게임하이·EA·애니파크·컴투스 등 게임 업체를 선택한 졸업생은 11명(22%)을 차지했다. 국내 대표적 대기업인 삼성그룹(6)이나 LG그룹(5), 나머지 10대 그룹(4)으로 간 수보다 많다.


이공계 명문 카이스트(KAIST)도 사정은 비슷하다. 2007~2011년 5년간 졸업생 259명 중 창업을 선택한 이는 단 4명이었다. 취업을 선택한 학부 졸업생 72명 중 14명은 넥슨·엔씨소프트 등 게임 업체에 자리를 잡았다. 역시 삼성(8), NHN(4), SK(4) 등 주요 기업별 취직자 수를 뛰어넘었다.




한국에선 '게임 업체 쏠림'이 나타나지만 미국 같은 선진국 SW 관련 고급 인재들은 창업이나 벤처기업행이 대세다. 올 3월 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과학과 학생 12명은 한꺼번에 스마트폰 결제 시스템 벤처기업인 '클링클(Clinkle)'에 합류하려고 무더기 휴학계를 냈다. 이 대학 존 헤네시(Hennessy) 총장은 이 과정에서 조언뿐 아니라 투자까지 하며 창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메란 사하미 컴퓨터과학과 교수 또한  개인적으로 클링클에 투자했고,클링클은 얼마 전 페이스북 투자자들로부터 스타트업 사상 최대인 287억의 투자를 받았다.


학교 측에 따르면 1930년대부터 2011년까지 스탠퍼드 졸업생 중 29%인 8385명이 창업 경험이 있다. 이들이 만든 회사는 3만9900개이며, 창출한 일자리는 약 540만개, 매출액은 약 3000조원에 이른다.


from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8/02/201308020026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