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엄청난 하도급 구조
세 번째, 익숙한 불법 소프트웨어
신동선 한국비즈텍 사장은 기자와 만나 "우리 회사가 독자 개발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째로 도둑맞고 회사가 망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살을 여러 번 생각했다"고도 했다.
잘나가던 회사는 2008년 건설업계 불황에 1차 타격을 받았다. 이어 2008년 말 김모 전 상무 등 직원 3명이 핵심 기술을 갖고 중견 건설업체 S사로 옮기면서 회사는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2010년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신 사장은 S사 대표와 김씨 등 전 직원들을 형사 고발했다. 정부 기관인 한국저작권위원회도 2011년 1월 '한국비즈텍의 소프트웨어와 S사의 프로그램이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이 사건은 3년 가까이 1심 소송이 지루하게 이어지면서 한국소프트웨어전문기업협회가 조속한 재판 진행을 촉구하는 진정서를 내기도 했다.
한국 기업, 나아가 우리의 문화는 손에 잡히지 않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무시한다. 제조업·대기업 위주의 산업 구조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소업체가 그럴듯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시장에 내놓으면 얼마 지나지 않아 거의 똑같은 제품을 대기업이 내놓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작년 12월 경찰은 중소 협력업체 A사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관련 핵심 기술을 불법 복제한 혐의로 롯데피에스넷 김모 전 대표 등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은 김 전 대표가 여러 차례 A사에 프로그램 소스를 공개할 것을 강요했지만 A사가 거부하자 몰래 빼낸 것으로 판단했다.
무형자산의 값어치를 제대로 인정해주지 않으니 불법 복제도 심각하다. 사무용 소프트웨어연합(BSA)에 따르면 2011년 우리나라의 불법 복제율은 40%, 피해액은 8900억원에 이른다. 미국(19%)·일본(21%)·오스트리아(23%) 등 선진국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from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8/03/2013080300195.html
네 번째, 어이없는 국산 역차별
SW 업계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은 국내에 뿌리 깊은 외산(外産) SW와 국산의 차별을 없애는 게 가장 급선무라고 꼽았다. 대형컴퓨터(서버)용 SW 업체인 티맥스소프트의 이승우 상무는 "오라클 같은 미국 기업엔 소프트웨어를 구매한 뒤 매년 22%씩 유지 보수 비용을 주면서 국내 업체엔 아예 주지 않거나, 10% 미만만 준다"며 "무상 유지 보수란 말 자체가 우리나라에만 존재한다"고 말했다.
통상 SW 기업들은 제품을 판매한 뒤, 매년 나오는 유지 보수 비용을 연구개발비로 쓴다. 국산 업체의 역차별 관행이 SW 업체의 기술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from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8/07/2013080700235.html
'디지털 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로 보는 LG G2, Learning from You (0) | 2013.08.08 |
---|---|
구글, 위치확인 및 원격조작 가능한 안드로이드 기기 관리자 공개 (0) | 2013.08.08 |
빼어난 창업 생태계 실리콘밸리, 몰리는 SW 인재들 (0) | 2013.08.07 |
소프트웨어에 흥망성쇠 달린 제조업, 껍데기 제조 1위 대한민국 (0) | 2013.08.07 |
소프트웨어로 달리는 해커의 먹잇감 자동차 (0) | 2013.08.07 |